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. 아자 정치부 이현재 기자와 김포 서울 편입 이슈 총선 메가톤급 이슈가 될지 알아보죠. <br> <br>Q1. 이 기자. 국민의힘이 김포 서울 편입 이슈를 꺼내든 이유가 있겠죠? <br><br>"김포 시민의 요청을 받아들였다"는 게 표면적 이유지만 실제로는 수도권 표심을 겨냥한 총선 전략으로 보는 게 맞겠습니다. <br><br>김포 외에 하남, 광명, 구리, 고양, 부천시도 후보군으로 거론되는데요. <br> <br>이곳에 걸린 의석 수가 14석인데 현재 모두 야당 의원 지역구입니다. <br> <br>국민의힘 입장에서는 뺏어오면 무조건 좋은 지역들이죠.<br> <br>원하는 지역은 적극 지원한다며 은근히 지역 민심을 자극했습니다. <br> <br>[ 윤재옥 / 국민의힘 원내대표 ] <br>"지역의 그런 요구가 있을 때 저희들이 검토할 것입니다. 그럴 경우에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생각입니다. 다만 지역민들의 요구가 있어야겠지요." <br><br>이미 당에서 여론수렴에 들어간 지역들도 있는만큼 여당의 '메가 서울' 전략이 수도권 총선판을 흔들기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Q2. 이게 서울까지 영향을 줄 수 있겠습니까? <br><br>영향이 없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. <br><br>경기도에 인접한 강서, 양천, 구로, 금천, 강동, 중랑, 은평, 마포구가 영향권에 들어갈 것 같은데요. <br><br>여기 걸린 16석도 모두 민주당이 차지하고 있거든요. <br> <br>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채널A 통화에서 "서울이 확장되면 해당 지역들은 더이상 외곽이 아니게 돼 집값이 오르는 등 혜택을 받을 수 있다"고 전망했습니다.<br> <br>다만, 국민의힘 내에서도 이승환 중랑을, 김재섭 도봉갑 당협위원장 등은 우려의 목소리 냈는데요, <br> <br>경기도보다 낙후된 본인 지역구 상황을 언급하며 서울부터 잘 챙겨야한다고 했습니다.<br> <br>Q3. 중요한 건 당 지도부 판단인데 도움이 된다고 보는거죠? <br><br>국민의힘 핵심관계자가 세종시 출범 과정을 떠올려보라고 하더라고요. <br> <br>'민심을 이길 힘은 없다'는 거죠. <br> <br>16대 대선 당시 수도 이전 공약을 낸 노무현 전 대통령이 충남과 대전에서 승리하며 당선됐습니다. <br> <br>이후에 이명박 정부가 전면 재검토를 선언하며 수정안을 던졌다가,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이 충청권에서 참패하면서 그대로 폐기됐습니다. <br> <br>서울 편입을 원하는 민심이 확인된다면 민주당도 외면하기 어려울거라는 거죠. <br><br>이슈는 국민의힘이 잡고 가는 거고요. <br><br>Q4. 실제 국민의힘 의도대로 갈까요? 민주당 분위기는 어때요? <br><br>네. 일단 민주당은 겉으로는 "뜬금없는 악성 선거용 전략"이라고 비판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김동연 경기도지사도 이미 반대 입장을 내놨고, 민주당 경기도당도 "김포시가 껌딱지냐. 여기저기 갖다 붙이지 말라"고 반발했습니다.<br> <br>하지만 고민이 깊어 보이긴 합니다. <br> <br>일단 김포시를 비롯해 서울 편입이 거론되고 있는 지역의 민주당 현역 의원들 반대 입장을 대놓고 밝히진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반대하자니 표가 떨어져나갈 수 있고, 찬성하면 여당 전략에 말려드는 상황인 거죠. <br> <br>경기지사를 지낸 이재명 민주당 대표도 아직 찬반 입장을 내지 않고 있습니다. <br><br>Q5. 실제로 편입이 되는 거에요? 국민의힘은 하겠다는 겁니까? <br><br>일단 김포시는 지역 주민들의 찬성 여론이 높다고 보고 당론으로 추진하겠다고 합니다. <br> <br>다른 지역의 경우 지역 민심을 들어보겠다는데요. <br> <br>당이 결정하는 탑다운 방식이 아니라, 지역의 요구를 받아들이는 바텀업 방식으로 진행한다는 명분입니다. <br> <br>시간을 벌며 지역 민심도 살피고, 지역 내에서 요청 열기가 뜨거워지기를 바라는 속내도 있습니다. <br> <br>김포시의 경우는 일단 당론을 의원발의하면 경기도가 반대해도 추진할 수 있거든요. <br> <br>민주당이 반대하면 법안 통과가 불가하지만, 그 경우 총선에서 다수당이 되면 추진하겠다는 총선 이슈로 띄울 전망입니다. <br><br>지금까지 아는기자, 이현재 기자였습니다. <br><br><br /><br /><br />이현재 기자 guswo1321@ichannela.com